본문 바로가기
경제적 자유를 위하여

중산층이란? 중산층의 기준 현실과 이상의 차이

by 스마트머니 2022. 10. 1.
반응형

상류층으로 살 수 있다면야 좋겠지만 현실적으로는 쉽지 않다는 것을 잘 알기에, 많은 사람들은 본인이 중산층이라도 되기를 희망합니다. 그래서 중산층이 넓고 탄탄한 국가가 건전한 국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본인을 스스로 하층민으로 인식하며 현실적으로 중산층이 되기도 쉽지 않다는 한탄을 많이 하고는 합니다. 실제로 중산층 구간에 해당되는 사람들조차도 본인을 중산층으로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는 게 사실입니다.

 

이번에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에서 발표된 '2022 중산층 보고서'를 살펴보면 공식적인 중산층의 기준(OECD 기준)과 대한민국 국민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기준과의 눈높이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공식적인 중산층의 기준(OECD 기준)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로 대한민국 국민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기준에 대해서 비교하며 어떤 부분에서 괴리가 발생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산층 이란? (중산층 공식 기준)

중산층이란 OECD 기준으로 균등화 중위소득의 75%~200% 사이의 소득계층을 의미합니다.

균등화 중위소득의 75% 미만을 하위층, 200% 초과를 상위층으로 분류하게 됩니다.

 

2022년 4인 가족 기준 중위소득은 512만원(월)입니다. (아래 중위소득 부분 참고)

따라서, 512만원의 75%~200% 구간인 384만 원부터 ~ 1024만 원의 월소득을 가진 4인 가족의 경우 중산층의 범위에 들어갑니다. 그러나 중산층의 범위 또한 상당히 넓어서 중산층 내에서도 상위 중산층과 하위 중산층간의 소득격차가 크고, 이로 인해 본인이 중산층에 해당됨에도 스스로 하층민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원인이 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공식적인 중산층의 기준은 이렇다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가구원의 숫자별로 중산층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수별 중산층 기준]

구분 2022년 중위소득(월) 중위소득(월) 75%~200%
1인 가구 194만 원 146 ~ 388만 원
2인 가구 326만 원 245 ~ 652만 원
3인 가구 419만 원 315 ~ 838만 원
4인 가구 512만 원 385 ~ 1024만 원
5인 가구 602만 원 452 ~ 1204만 원
6인 가구 690만 원 518 ~ 1380만 원
반응형

 

※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이란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0조의 제2항에 따라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을 의미합니다.

즉,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순위를 매겼을 때, 가운데를 차지하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연도별 기준 중위소득(4인 가족)
가구원수별 기준 중위소득
가구원수별 기준 중위소득 [출처 : e-나라지표]

 

국민들의 중산층에 대한 인식(실제 눈높이)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에서 조사하여 발표한 '2022년 중산층 보고서'에 따르면 실제로 국민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에 대한 기준은 앞에서 알아본 공식적인 중산층의 기준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 조사에 참여한 국민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민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기준 (4인 가구 기준)

  1. 월소득 : 686만 원
  2. 월소비 : 427만 원
  3. 순자산 : 9억 4천만 원
  4. 부동산 : 자가 32평 아파트
  5. 가족형태 : 기혼 (4인 가구)

 

앞에서 알아본 국민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기준이 실제로는 어느 정도인지 좀 더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월소득 686만 원 → 상위 24% 수준
  2. 월소비 427만 원 → 상위 9.4% 수준
  3. 순자산 9억 4천만 원 → 상위 11% 수준

즉, 국민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수준이라는 것은 사실상 상위층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중산층의 재무적 조건
[출처 : 2022 중산층보고서,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특히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월소비와 순자산 수준은 사실상 상위 10% 경제력이라는 사실입니다.

상위 10% 수준에 이르는 생활을 바라보며 중산층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니, 국민들의 눈높이가 너무나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이상과 현실 사이에 큰 괴리를 갖고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으니 자꾸만 스스로 불행하다고 느끼며 결혼과 출산을 미루게 된다고 생각됩니다.

 

본인의 능력과 재능에 맞게 현실을 직시하고 상황에 만족하며 살아가야 하는데, TV나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서 현실과 동떨어진 부자들의 삶을 바라보며 헛된 환상을 품고 사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 주목할 점은, 동일한 소득을 가진 사람이라도 미혼보다는 기혼인 경우, 그리고 가구원수가 더 많을수록 본인 스스로를 중산층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습니다. 반대로 이야기하면 본인 스스로를 중산층으로 인식할수록 결혼을 하고 가구원수를 늘리게 된다는 사실입니다.

 

심각한 저출산과 급속한 고령화 1위 국가로 머지않아 인구 소멸의 위기를 겪고 있는 대한민국에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실제로는 중산층에 해당되는데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하층민으로 인식하며 결혼과 출산을 미루고 있는 세대들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합니다.

 


 

 

지방광역시도 조정대상지역 전면 해제 [2022.09.21]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2단계 개편(2022년 9월 시행) 주요 내용 및 인포그래픽 총정리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확인 (피부양자 자격 인정기준)

연금저축 종류별(펀드,보험,신탁) 특징과 장단점 비교

만능통장 "중개형 ISA" 장단점과 혜택 파헤치기

금융투자소득세(주식양도세, 2023년부터 도입예정) 바로 알기

반응형